1. 거래소
증권을 사고 팔려는 사람들이 일정한 시간에 모여서 거래할 수 있도록
장소와 시설이 갖춰져 있는 곳을 말합니다. 전체 증권시장의 유통시장에 해당하는
곳으로 1956년에 설립되었고, 최초 12개의 상장주식이 거래되던 것이 지금은 700개
가 넘는 기업들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2. 코스닥
첨단 벤처기업 중심 시장인 미국의 나스닥 (NASDAQ) 시장을 모델로 하여, 비상장기업 중에서 성장성과 기술력이 있는 기업들의 원활한 자금조달과 성장을 위해 설립된 시장입니다. 1996년 7월 1일에 개장했으며, 거래소시장에 비해 거래 자격조건을 완화시켰습니다
인터넷에 나와있는 기본적인 거래소와 코스닥의 차이점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상장할때의 기본 조건이 틀리다는 것입니다.
벤처육성과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거래소의 상장조건보다 많이 완화한 시장 만든것 입니다.
거의 벤처기업떄문에 생긴 시장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거래소에 상장되는데는
------------------------------------------------------------------------------
규모, 재무내용,유통성, 건전성 및 공익과 투자자보호에 관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2000년 6월 개정된 상장규정에 따르면 상장요건은 기업의 규모와 산업의 특성에 따라 [선택 1] 요건과 [선택 2] 요건 2가지로 나뉘어 진다.
[선택 1] 요건은 중대형 우량법인,[선택 2] 요건은 성장성있는 소형법인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최소자본금은 [선택 1]요건에는 50억원 이상, [선택 2]요건에서는 20억원 이상이어야 하며, 설립 경과연수 3년이상 되어야 한다.
매출액의 경우 [선택 1]요건에서는 최근 200억이상, 3년평균 150억이상 이어야 하며, [선택 2]요건에서는 최근 60억 이상, 최근 사업년도 직전 2사업년도 평균 50억 이상, 최근사업년도 증가율 20%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부채비율은 두가지 요건 모두 상장법인 동업종 평균 1.5배 미만이어야 하며, 영업·경상·당기순익은 최근 1년간 흑자가 나야 한다.
----------------------------------------------------------------------------------
이런 규정이 있는데... 기술력은 있지만 연구개발 자금이 부족했던
벤처기업은 위와 같은 조건에는 도저히 해당 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미국 나스닥 제도를 본따 만든게 코스닥 시장입니다.
코스닥에 있다가도 위 조건에 만족이 되면 회사를 거래소로 옮기기도 합니다.
코스닥 시장이 지금은 많이 자정화 되었지만 여전히 작전과 대주주의 전횡이
공공연하게 발생하고 있는데요. 코스닥에도 잘 찾아 보시면 괜찮은 회사들도 상당히 있습니다.
- 출처 : http://cafe.daum.net/goldfinder -